일단 이건 계절학기 때 내가 잠을 참아가면서 들었던 수업이다...
A+..! 덕분에 평균 학점 올라갔다 히히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컴퓨팅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로 사용할 수 있는 주문형 서비스
특징
장점
단점
유형
프라이빗 클라우드 : 주로 기업 내부에 구축된 인프라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방화벽으로 보호된 인프라는 단일 고객만 사용한다.
퍼블릭 클라우드 : 타사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소유하고 운영하며,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병행해서 사용하고 이 간에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멀티클라우드 :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의 자원과 서비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기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종류
IaaS : 온프레미스 인프라에서 한층 발전한 유형
PaaS : 전체 온프레미스 인프라 관리가 조금 더 발전한 형태
SaaS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가장 포괄적인 형식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온프레미스란?
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인프라를 소유, 관리 및 운영하는 경우
오프-프레미스란?
서드파티 공급업체가 인프라, 시설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지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군이란?
클라우드 시장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CSP와 관리하고 컨설팅해 주는 MSP로 구분할 수 있다.
사례
회사에서 사용하는 Daas는?
Desktop as a Service로 사용자당 구독 라이센스로 인터넷을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가상 데스크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품이다.
위에서 언급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g클라우드 가비아 이다.
이외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SecaaS, CaaS, NaaS
멀티테넌시란?
여러 고객이 클라우드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팅 리소스를 공유하는 아키텍처이다.
다중 테넌트에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단일 인스턴스이므로 클라우드 컴퓨팅에 있어 중요한 기능이다.
단일테넌시란?
고유한 소프트웨어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고 코드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받는다.
그리드 컴퓨팅이란?
컴퓨팅 리소스가 플랫폼 상에서 논리적 리소스풀로 등록되어 풀에 포함된 리소스가 집합적으로 고성능의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리소스의 결합성이 매우 작고, 서로 다른 기종의 리소스들이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가상화란?
물리적 컴퓨터 환경상에 가상 인스턴스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실제 IT 리소스인 것처럼 CPU, 메모리, 저장장치를 할당이 가능하다.
가상화 방식의 종류
호스트 가상화 : Host OS 위에 가상화를 구동시켜서 Guest OS가 구동되는 방식이다.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 호스트 가상화를 반대로 Host OS가 필요 없이 직접 하드웨어에 설치하여 Guset OS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컨테이너 가상화 : 하드웨어를 위해 운영체제를 먼저 설치하고, 그 위에 하이퍼바이저 역할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함으로써 가상화를 사용하는 방식이다.ㄴ
전가상화란?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는 방식이다.
반가상화란?
전가상화와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Guest OS는 스스로가 가상 환경임을 인지하고 있다.
Docker란?
가상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 가상화 컨테이너는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해 준다.
Docker 구조
Docker 특징
[2024.02.20] Python 머신러닝 공부 중... 글 수정하고있습니당 (0) | 2024.02.20 |
---|---|
[2024.02.16] 데이터 분석..python.... (0) | 2024.02.16 |
[2024.02.15] DBeaver, MariaDB 환경 세팅 메뉴얼 (3) | 2024.02.15 |
[2024.02.15] 파이썬 크롤링 작업 (flask, beautifulsoup4, sql, schedule.. ) (0) | 2024.02.15 |
[2024.02.07]리눅스 공부겸 이것저것 공부(jupyter notebook, CentOS 7) (0) | 2024.02.07 |